본문 바로가기

낯선곳보통날

수영 강습, Seepferdchen

 

 

 

초등학교 2학년 딸은 학교에서 일주일에 하루 두 시간(Schulstunde는 한 시간이 45분 기준) 의무적으로 수영 수업을 받아요. 한 반 정원이 20명 남짓인데 그 중 Seepferdchen (1단계)와 Bronze (2단계)를 이수한 아이가 절반 정도는 된대요. 1단계 이상 이수한 아이는 수영 수업에 가지 않고 원래대로 체육을 하고요. 독일의 수영은 아래의 4단계로 구분되고 초등학교 졸업 전에 최소 브론즈까지 이수하도록 권하는 분위기에요. 수영이 꽤 중요하다는 것을 여러 곳에서 느꼈어요.  

 

 

 

[독일 수영 4단계]

1. Seepferdchen 지페어티헨 (해마) : 수심 1m 70에서 평영으로 25m를 갈 수 있으며 어깨 깊이 바닥의 물건을 줍기. 1m 높이의 다이빙대에서 점프하기

 

2. Bronze 브론즈 : 15분 안에 200m를 평영으로 완주해야 하며 2m 깊이를 잠수해서 바닥의 물건을 줍기. 1m 높이의 다이빙대에서 점프하기

 

3. Silber 질버 :  30분 동안 수영을 지속 수영을 해야 하는데 그중 5분은 배영으로 유지해야 한다. 또는 25분 내에 총 400m를 완주하는데 300m는 평영으로 100m 배영으로 한다. 2m 깊이를 잠수해 두 번 이상 물건을 집어 올리고. 낮은 수심 물속에서 수영해서 10m 가기. 3m 다이빙대에서 점프하기.

 

4. Gold 골드 : 24분 안에 600m를 수영하는데 70초 내에 50m 평영으로, 접영으로 25m, 배영으로 50m를 해야 한다. 수심 2m에서 한 번 잠수해서 물건 세 개를 3분 안에 주워오는 잠수를 세 번 반복. 3m 다이빙대에서 점프하기. 물건을 물 위에서 밀거나 당기면서 50m 수영하기

 

 

 

5학년 상급 학교로 진학한 큰 아이도 뒤늦게 브론즈를 이수했고 2학년부터 학교 수영을 배우는 딸은 이번달(9월)부터 수영을 개인적으로 등록해서 배워요. 학교 수업 중에 이동 시간까지 고려하면 한 시간 반 안에 씻을 시간도 부족하고 머리가 긴 딸은 매번 머리도 제대로 못 말리고 차를 타니 1단계라도 이수하면 편할 것 같아요. 수영 물품을 챙겨서 학교로 들고 다니기도 번거롭고요. 학교 수영보다 개인적으로 배우는 수영이 수업의 강도가 더 세다고 딸은 그러더라고요.

 

 

 

수영장 유리문 밖에서 수업을 지켜볼 수 있는데 꽤 흥미로워요. 첫 수업은 낮은 수심(0.78m)에서 아이들은 물에 뜨는 데 도움을 주는 작은 킥보드를 가슴에 착용해요. 물을 대하는 모습을 보면 누가 물을 무서워하고 어느 정도 수준인지 보여요. 수영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 보고 개구리 수영에서 필요한 팔 동작과 발차기를 연습시켜요. 첫 날 조금있다가 수심이 1.60m으로 바뀌고 연습한 동작으로 건너게 하더라고요. 무서워하는 아이는 선생님이 옆에서 도와주고요. 딸처럼 학교에서도 배우고 수영장에서 자주 놀았던 아이는 쉽게 해요. 깊은 수심에서 개구리 수영이 가능한 아이는  세 번째 수업에서 가슴에 착용한 킥보드를 바로 벗어요.   

 

 

 

지금껏 겨우 다섯 번의 수업을 지켜봤는데 엄청 놀라운 점을 발견했어요. 수영장 수심 조절이 즉시 가능한 것도 신기하고 네 번째 수업에서 수심 3m에서 다이빙을 해서요. 참고로 초급 반이고 수강생 열 명 중 다섯 명은 수영 혹은 물이 처음인 것처럼 무서워하는 얘들도 있었거든요. 수심 2m에서 어떤 아이는 겁에 질려 눈물을 보였어요. 한 시간 수업에서 낮은 곳부터 시작해서 점점 깊어져서 끝 무렵엔 2m, 수심이 낮은 곳에서 연습하고 수영을 어느 정도 배우고 깊은 수심으로 가는 게 아니라 바로 처음부터 2m를 경험하는 게 특이했어요. 아예 처음부터 수영하든 못하든 깊은 곳에서 연습했어요.

 

 

 

자기 키보다 깊은 곳으로 뛰어드는 일이 쉽지 않잖아요. 무엇보다 발이 닿지 않을 때의 공포감이 큰데 그런 것을 아예 초반에 없애기 위해서라도 깊은 곳을 경험하는 것 같아요. 세 번째 수업에선 아이 한 명 한 명 수심 2m로 점프했는데 못 뛰어들고 주저주저하는 아이는 몇 번을 권했는데도 못하니 다른 친구가 뒤에서 밀어서라도 떨어뜨리더라고요. 지켜보면서 저건 너무 심한거 아닌가 하면서 엄청 놀랐지만 그 아이에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어요. 사실은 물이 그렇게 무섭지 않다는 것을 빨리 직면하는 게 수영을 배우는 입장에서 유리할지도 모르겠어요. 상상하던 두려운 실체가 실제로 마주하면 별거 아니라는 것을 우린 자주 경험하니까요.

 

 

 

딸은 수영 강습 다섯 번(그 전에 아빠랑 수영장에 다니면서 물과 친해졌거든요)만에 1단계를 땄어요. 열 명 아이 중 가슴에 단 킥보드를 떼고 수영이 가능한 네 명이 테스트를 보고 바로 통과했어요. 자기 키의 어깨 정도 높이의 수심에서 잠수해서 고리 줍기와 1m 다이빙대에서 다이빙하기. 25m 쉬지 않고 개구리 수영으로 가면 1단계 통과예요. 소수 정예로 수업을 하니 선생님이 바로 아이의 수영 정도를 파악해서 적절한 도움을 주니 좋고요. 학교 수영과 병행해서 그런지 빨리 딴 것 같고요.

 

물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잠수해서 고리를 주워오는 건 물 속에서 자유자재로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는지를 보고요. 딸도 처음엔 서서 못하고 앉아서 겨우 뛰었는데 나중엔 1m 높이 다이빙대에서도 거뜬하게 뛰었어요. 연습하니 이것도 되더라고요. 4유로를 내면 Seepferdchen: 해마가 그려진 천조각(수영복에 꿰매라고 하더라고요)과 수영 성적표를 발급해줘요. 1단계를 이수하면 "수영 할 수 있나요?" 라는 물음에 당당하게 "네" 라고 말할 수 있을 듯해요. 수영장에 가도 3m 수심으로 바뀔시엔 꼭 수영 여부를 묻거든요. 바닷가로 학급 여행을 갈 때도 상급학교 진학시에도  필요한 200m를 완주해야는 브론즈는 있는 게 좋을 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