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코로나 상황은 매일 평균 확진자 천오백 명 정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들이 학교를 간다. 니더작센주는 8월 27일에 개학을 했고 아직은 특별한 지시사항은 없다. 학교가 쉬지 않는 것만으로도 공포감이 줄었다. 3월에 대부분이 문을 닫거나 쉬던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6주간의 여름방학도 그대로 쉬었으니 더 쉬는 것도 무리다. 내가 사는 Schüttorf(11만)와 인접 도시 Bad bentheim(15만)은 인구가 53만 인 Nordhorn의 5분의 1 수준이라 더 인구밀도는 훨씬 낮다. 주말에 Bad bentheim에 가봤더니 네덜란드 접경 도시인만큼 네덜란드어도 종종 들렸다. 우리가 간 버거집엔 좌석 하나 정도는 비워두는 식으로 거리두기를 했고.
Schüttorf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는 딸은 학교 정문을 통과해서 교실로 가는 길에는 모두 마스크를 쓴다. 교실 안에서도 자리에 앉으면 마스크를 벗어도 되는 모양이다. 이동시엔 당연히 쓰지만. 쉬는 시간에는 또 마스크를 안 쓴다. 물론 학년별로 놀 수 있는 공간을 분리해 두고. Nordhorn에서 김나지움을 다니는 아들 얘기를 들으니 수업 시간에 모두 마스크를 쓴단다. 보통 힘든 일이 아니겠다. 당연히 대중교통을 타고 가는 중에도 마스크는 필수. 대신 공간 구분을 해서 5, 6학년과 7,8학년이 만나는 일이 없도록 분리한다. 혹시라도 확진자가 나오면 학교가 모두 폐쇄하지 않고 확진자가 나온 두 학년만 학교를 나오지 않는 시스템으로. 일단 2주가 지나 봐야 알 듯.
이사하고 한 달이 넘어서야 옆동네 나들이를 갔다. 자전거로 먼저 가 본 남편과 아들이 바드벤타임(6Km)은 슈토프와는 또 다른 느낌이고 내가 좋아할 정원도 있고 볼거리가 많다더니만 오래된 성도 있고 카페도 많았다. 독일에서 외식하면 주로 햄버거와 감자튀김이다. 난 물론 샐러드를 먹지만. 맥주도 좋아하진 않지만 레몬 섞인 크롬 바 맥주(도수가 낮다, 2도 정도) 한 잔은 기분 좋게 했다. 케이크가 맛있다는 카페에서 잠시 쉬기도 하고. 밖으로 나와보니 이래도 되나 싶을 만큼 덤덤하고 보통 때와 다른 게 전혀 느껴지지 않는 일상이다.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쓴 것 외에는. 오늘의 햇살과 즐거움은 유보할 수 없다는 듯한 저들의 담대함이라니. 하긴 나도 모르게 덤덤해진 듯도 하고
'웃음꽃유진 > life in Schwanewe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슬라와 앤디 (2) | 2020.09.30 |
---|---|
2020년 9월 25일 (2) | 2020.09.25 |
선명하게 붉은 자두잼 (0) | 2020.08.30 |
친절한 마틴씨 (0) | 2020.08.24 |
한 여름밤의 달콤한 베리주 (0) | 2020.08.14 |